<영성과 보건복지> 학회 논문투고 규정
I. 원고제출절차
1. 모든 투고자는 반드시 연구윤리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본 학회의 연구윤리규정은 APA publication manual의 기준에 따르며, 표절과 중복투고를 엄격히 제한한다.
2. 학회지 발간은 매년 6월과 11월 학술대회일로 연 2회로 하며, 원고 마감은 발간일로부터 2개월 전으로 한다.
3. 투고신청서를 원고와 함께 제출한다.
4. 투고 시 다음의 제출물을 본 학회 편집위원장 앞으로 이메일로 제출한다.
1) 투고논문
2) 투고 신청서 1부 - 일단 제출된 원고는 반환하지 않는다.
5. 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나 연구보고서와 동일한 내용의 논문은 투고할 수 없다. 학위논문은 투고할 수 있으나, 투고 시 학위논문임을 밝혀야 한다. 또한 학위논문을 투고하는 경우 제1저자는 학위논문의 저자이어야 한다.
II. 논문심사기준과 절차
1. 심사위원은 편집위원회의 회의를 거쳐 편집위원장이 위촉한다.
2. 투고된 한 편의 논문에 대해 3명의 심사위원이 동시에 심사한다.
3. 투고된 논문은 심사양식에 따라 “제목과 내용의 일치성여부, 연구의 체계와 구성의 타당도, 연구의 독창성, 최근까지의 연구동향의 반영도, 연구의 학문적 기여도, 참고문헌 표기의 정확성, 종합의견” 등의 내용을 기본 심사양식인 <논문심사 평가보고서>에 기초하여 심사한다.
4. 제출된 논문은 심사기준에 의하여 2명 이상의 게재적격 판정을 받은 것에 한하여 게재한다.
심사결과판정은 다음의 4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1) “게재” 판정이 내려진 논문에 대해서는 편집위원장의 명의로 게재사실을 저자에게 통보한 후 게재한다. 이때 저자에게는 자구수정 등의 미미한 수정만이 허락된다.
2) “수정 게재” 판정이 내려진 논문에 대해서는 편집위원장의 명의로 수정해야 할 내용을 통보하며, 수정요청이 어느 정도 받아 들여졌는지를 편집위원장이 판단한 후 게재한다.
3) “수정 후 재심” 판정이 내려진 논문에 대해서는 편집위원장의 명의로 수정해야 할 내용을 통보하며, 수정논문은 2주일 이내에 수정한 후 재접수하여 해당 심사자에게 다시 심사를 의뢰한다. 이때의 재판정은 “게재” 또는 “게재불가”로만 한다. 3인중 2인 이상 “게재” 판정 시 게재한다.
4) “게재불가” 판정이 내려진 논문에 대해서는 편집위원장의 명의로 그 사유를 명기하여 저자에게 통보한다.
5) 심사논문에 심사 결과가 모두 다를 경우, 최종심사판정은 다음과 같다.
• ‘게재불가’, ‘수정 후 게재’, ‘게재’의 심사결과는 ‘수정 후 게재’로 최종 판정한다.
• ‘게재불가’, ‘수정 후 재심’, ‘게재’의 심사결과는 ‘수정 후 재심’으로 최종 판정한다.
• ‘게재불가’, ‘수정 후 재심’, ‘수정 후 게재’의 심사결과는 ‘수정 후 재심’으로 최종 판정한다.
III. 논문작성법
1. 논문의 본문은 한글을 원칙으로 하며 외국어, 한자이름 등은 첫 번째에만 한글 옆 괄호 속에 기재한다.
2. 모든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집필되어야 한다.
① 논문제목
② 성명 (소속과 지위는 각주로 처리한다)
③ 국문초록(한글 600 자 이내 혹은 A4 1/2매)과 주제어 (5단어)
④ 본문
⑤ 참고문헌
⑥ 영문초록(영문 1000 단어 이내 또는 A4 1매 이내):
논문제목, 성명, 소속, 지위, 초록, 주제어 순(단, 주제어는 영문 6단어 이내로 표기).
⑦ 부록 (필요한 경우)
3. 본문 속의 항목별 번호는 다음의 순에 의한다.
I II III, 1 2 3, 1) 2) 3), (1) (2) (3), ① ② ③, 가 나 다
4. 논문은 아래의 기준에 의거하여 작성한다.
1) 편집용지 (A4)
사용자정의(폭: 210, 길이: 297), 글씨 크기(11),
용지여백(위쪽: 20, 아래쪽: 15, 머리말: 15, 꼬리말: 15, 왼쪽: 30, 오른쪽: 30)
2) 논문분량 : A4 20매 이내로 한다.
5. 학위논문과 관련된 논문을 투고할 경우, 원고의 제목에 다음의 내용을 표시하여야 한다.
· 본 논문은 저자의 00학위논문을 <축약 / 축약·수정 / 재구성> 한 것이다.
6. 인용은 반드시 내각주를 사용하여 처리한다.
예) 문화적 요인을 설명하는 국제결혼 특수변인 중 결혼경로, 문화적 차이, 국적취득 등의 어려움이 부부갈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신경희, 2004).
7. 본문에 인용된 문헌은 반드시 참고문헌에 표시되어 있어야 한다.
8. 주석 및 참고문헌 등의 세부사항은 다음의 형식에 준한다.
1) 주(註)를 다는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예외 없이 지켜야 한다.
본문과 주에서는, 저자의 이름과 저서의 출판연도를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 경우는 인용 페이지를 반드시 기재하도록 한다. 주(註)의 구체적인 사항은 아래를 참조한다.
① 저자의 이름이 본문에 언급된 경우에는 그 다음에 출판 연도를 괄호 안에 제시하고(예1), 본문에 언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름과 출판 연도를 모두 괄호 안에 제시한다(예2).
예1, ...장희숙(2002: 131)
예2, ...(장희숙, 2002: 131)
② 저자의 이름이 외래어인 경우, 원명을 쓴다.
예, ...Beveridge와 Smith(1975)는, (Beveridge and Smith, 1975)
③ 2인 공동저술인 경우 두 사람의 이름을 모두 제시한다.
예, ...(안정숙·신승우, 2002: 1166)
④ 3인 이상의 공동저술인 경우, 첫 번째 인용에서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제시하고 그 이후부터는 국내 문헌은 “외”를, 국외 문헌은 “et al.”을 사용한다.
예, ...(이은희·윤가현·이정숙, 2006: 341)와 그 이후 (이은희 외, 2006: 341)
예, ...(Thomas, Kelley, Lawrence, Narrow, Reiger, and Robins, 1990)와 그 이후 (Thomas et al., 1990)
⑤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저술을 인용할 때는 연도순으로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저술을 구분한다.
예, ...(김용미, 1996: 187; 김예정·김득성, 1999: 187; 안귀여루, 2002: 55)
⑥ 영어의 ‘&’은 본문에서는 ‘and’로 통일하고, 참고문헌에서만 사용한다.
예, ...(Margolin and Gordis, 2000; Huth-Bocks, Semel, and Shapiro, 2002)
2) 참고문헌을 적는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예외 없이 지켜야 한다.
주석과 참고문헌을 양식에 맞게 구성하였는지에 대한 평가는 중요한 심사항목이다. 참고문헌은 APA Publication Manual에 준하여 작성하고,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된 문헌만을 제시한다.
참고문헌 작성의 구체적인 사항은 아래를 참조한다.
① 한글 문헌은 저자 이름의 가나다 순으로 먼저 제시하고, 그 다음에 영문 문헌을 알파벳 순으로 작성한다. 단, 중국어 및 일본어 저자명은 괄호 속에 영문 또는 한글 표기를 하고, 그 순서로 따르도록 한다.
② 학술잡지, 단행본 및 연구보고서가 국문이나 동양어인 경우는 중고딕으로, 서양어인 경우는 이탤릭체로 하며, 책이름은 첫 자만 대문자로, 학술지(journal)명은 각 단어의 첫 자를 모두 대문자로 한다.
③ 같은 저자에 의한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는 출판연도가 이른 순서대로 나열한다.
④ 같은 저자에 의한 저술로서 같은 연도에 출판된 것이 두 편 이상일 때는 본문에 인용된 순서대로 출판연도에 영문자 a,b,c 등을 부기하여 구분하고 차례대로 나열한다.
⑤ 저자가 2인 이상일 때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기재해야 한다.
⑥ 영문으로 된 서적이나 논문의 경우, 모든 저자는 성(last name)을 먼저 적은 후 쉼표(,)를 하고, 이름(first name)의 첫 자(initial)와 중간이름(있는 경우에만)의 첫 자를 적는다.
예(Fowers, B. J., and Olson, D. H.). 단, 편저서의 편집자의 경우에만 이름(first name)의 첫 자(initial)와 중간이름의 첫 자를 적고, 그 뒤에 성(last name)을 적는다.
⑦ 영문저자명을 나열할 때는 마지막 저자 전에 ‘&’를 사용한다.
* 국문학술지:저자명(발행연도). 논문제목. 학술지(Journal)명, 권수(호수):논문쪽수.
예) 이정환(2003). "모자가족 아동의 학업능력". 『가족과 문화』. 15(2): 61-79.
* 영문학술지:저자명 (발행연도). 논문제목. 학술지(Journal)명, 권수(호수), 논문쪽수.
예) Richmond, M. K., and Stocker, C. M. (2006). Associations between family cohesion and adolescent siblings' externalizing behavior.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4), 663-669.
* 저서: 저자명(발행연도). 책이름. 발행처 소재지: 발행처.
예) 단독저서의 예
이원숙(2005). 『가족복지론』. 서울: 학지사.
Cournoyer, B. R. (2004). The evidence-based social work skills book. Boston, MA: Allyn and Bacon.
예) 2인 공저의 예
최성재·남기민(1993).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나남출판
Wilson, D., and Game, G. (2002). Local government in the United Kingdom. New York: Palgrave McMillan.
예) 3인 이상 공저의 예
이소현·박은혜·김영태(2005). 『교육 및 임상현장 적용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서울: 학지사.
Hughes, J., Hatsukamam, D., Rachal, J., Harwood, H., Cavanaugh, E., and Ginzburg. H. (1989). Drug abuse treatment: A national study of effectiveness. Chapel Hill, NC: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 편저서: 저자명(발행연도). 논문명. 편집자명, 책이름 (쪽수). 발행처소재지: 발행처.
예) Editor가 1명인 경우
Berry, J. W. (1980). Acculturation as varieties of adaptation. In A. M. Padilla (Ed.), Acculturation: Theories, models and findings (pp. 9-25). Boulder, CO: Westview.
예) Editor가 2명 이상인 경우
Hotaling, G. T., and Sugarman, D. (1990). Prevention of wife assault. In R. T. Ammerman M.Hersen (Eds.), Treatment of family violence: A sourcebook (pp. 385-405).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 번역서: 역자명(발행년도). 번역서명. 원저자명. 원저발행연도. 원저명. 역서발행처소재지: 역서발행처.
예) 하재창 역(1991). 『하버마스와 비판이론』. R. Roderick. 1985. Habermas and the foundations of critical theory. 원광대학교 출판국.
* 학위논문: 저자명(발행연도). 논문제목. 학위수여기관 및 문서유형
예) 일반대학원인 경우
엄태완(1992). 장기장애인 가족과 일반 가족의 가족기능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예) 특수대학원인 경우
이은덕(1998). 장애아 가족의 가족기능과 가족지지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간행 학위논문: 저자명(발행연도). 논문제목. 학위수여기관 및 문서유형(미간행)
예) 김수연(2004). 저출산 시대에 대비한 인구복지정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미간행).
* 영문 인터넷 문서: 저자명 (발행연도). 자료명. Retrieved on 날짜, from 사이트 주소
예) Degelman, D., and Harris, M. L. (2000). APA style essentials. Retrieved on May 18, 2000, from http://www.vanguard.edu/faculty/ddegelman/index.aspx?doc_id=796
* 국문 인터넷 문서: 저자명(발행년도). 자료명(혹은 표 제목) ○○○○년 ○○월 ○○일 다운받음, 사이트 주소
예) 통계청(2008). 경제활동참여율. 2008년 5월 16일 다운받음, http://www.kosis.kr
* 대중매체 자료
예) 한국일보(2008.1.1). 꼭 남편이 있어야 하나요? 아이와 둘이서 행복할 자신 있는데.
예) 와이티엔뉴스(2008.8.12).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일선업체 배만불려.
* 자료집
예) 성정현·송다영·양심영(2004). 가족복지프로그램과 서비스현황: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제4회 전국사회복지관직원교육 자료집: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다학문적 입장과 사회복지관의 방향모색, 46-86.
『영성과 보건복지』 논문 투고 신청서
게재 희망 | 『영성과 보건복지』 제 3호 | 논문의 언어 | ||
투고자 | 성명 (한글, 영문) | 한글: | 영문: | |
소속 (대학, 학과) | 직위: | |||
연락처 | 휴대전화: | E-Mail: | ||
논문 제목 | 한글 | |||
영문 | ||||
본인은 『영성과 보건복지』 의 윤리규정을 준수할 것을 약속하며 신청일 : 20 년 월 일 |
** 접수일자 : 20 년 월 일 / 접수번호 : ( )
* 확인사항
1) 논문은 국문초록, 논문, 참고문헌 목록, 영문초록의 순서이며, 각 초록은 5개 이내의 주제어가 들어가야 합니다.
2) 각주 및 참고문헌은 투고규정에 따라 작성되어야 합니다. 규정준수가 미비할 경우 접수하지 않습니다.
** 논문투고 신청서 양식은 자료실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